이 글에서는 물리학에서 옴의 의미와 다른 단위로 옴이 얼마나 표현되는지 알아봅니다. 또한 온라인 계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전기 단위 간에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옴이란 무엇입니까?

(또는 )은 전기 저항의 국제 시스템(SI) 단위입니다. 즉, 옴은 저항값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 단위입니다.

옴의 기호는 그리스 대문자 오메가(Ω)입니다. 그러나 때로는 약어 옴 (ohm) 도 사용됩니다.

물리학에서 옴은 1A의 전류가 교차하는 도체의 두 지점 사이에 1V의 전위차가 있을 때 그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 저항으로 정의됩니다.

이 전기 장치의 이름은 독일의 물리학자 게오르그 시몬 옴(Georg Simon Ohm)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옴의 법칙을 창안한 사람이 바로 그 사람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옴은 전류 통과의 어려움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저항의 옴이 많을수록 전류가 통과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옴의 배수 및 약수

이제 옴의 정의를 살펴보았으므로 이 전기 측정의 배수와 약수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옴의 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름 상징 여러 개의
데카옴 다Ω 101Ω
헥토옴 10
킬로옴 10
메그옴 10
기가옴 10
테라옴 10 12Ω
페옴 10 15Ω
엑사옴 10 18Ω
제타옴 10 21Ω
요타옴 10 24

반면, 옴의 약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름 상징 약수
데시옴 10 -1Ω
센옴 10 -2Ω
밀리옴 10 -3Ω
마이크로옴 μΩ 10 -6Ω
나노옴 10 -9
피옴 10 -12Ω
펨토옴 10 -15Ω
아토옴 10 -18
젭토옴 10 -21Ω
욕토옴 10 -24Ω

옴을 다른 단위로 변환하는 계산기

다음 변환기를 사용하여 옴의 배수와 약수 사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전기 저항 값, 변환 단위를 입력하고 “변환”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마침표를 소수 구분 기호로 사용해야 합니다(예: 52.09).

옴의 법칙

마지막으로 옴의 법칙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 물리적 법칙을 통해 전류의 강도, 전압 차이 및 전기 저항을 수학적으로 연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옴의 법칙 에 따르면 두 지점 사이의 전위차는 전류 강도에 두 지점 사이의 전기 저항을 곱한 것과 같습니다.

 V=I\cdot R

따라서 이전 방정식에서 두 지점 사이의 전기 저항은 전압 차이를 전류 강도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R=\cfrac{V}{I}

국제 체계에서 전압과 전류의 단위는 각각 볼트와 암페어이다. 따라서 1옴은 1볼트를 1암페어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1\ \Omega =\cfrac{1 \ V}{1 \ A}

코멘트를 남겨주세요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맨위로 스크롤